제주말(濟州말)은 제주섬서 ᄀᆞᆯ아지는 말이다. 육지서는 제주ᄉᆞ투리렌도 불르주마는 학계서 제주말을 한국말광 ᄐᆞᆫ ᄒᆞ나의 말로 베렴시다. 알려진 제주말 화자수는 1만 멩이 제우 넘어가지난, 선제 엇어질 ᄀᆞ리에 잇다. 젊은 칭은 거줌 한국말ᄎᆞ록 뒌 제주말을 ᄀᆞᆮ는데, 이를 제주ᄉᆞ투리렌 ᄒᆞᆫ다. 제주말은 다시 산북ᄉᆞ투리왕 산남ᄉᆞ투리로 ᄂᆞ뉘여진다. 2010년, 유네스코서 4단졔 소멜위기언어로 ᄋᆢ겨졋다. 문ᄌᆞ는 한글을 가저당 쓰곡, 어순은 한국말광 ᄀᆞ찌 SOV꼴이다.Template:Wp/jje/Citation needed
[[file:{{{기림}}} |200px]] | |
씨는 나라 | 대한민국 |
씨는 지역 | 제주특벨ᄌᆞ치도전역 |
씨는 민족 | 한민족 제주인 |
언어 인구 | 약 5000-10,000멩[1] |
글ᄌᆞ | {{{글ᄌᆞ}}} |
언어 계통 | 한국어족 |
첫 자부세 | 중세한국말 |
공용 | |
공용어로 씨는 나라 | 제주특벨ᄌᆞ치도 제주시 한림읍 월림리[2][3] |
표준 | 표준이 정헤지지 안음 |
ᄉᆞ투리 | {{{ᄉᆞ투리}}} |
언어 부호 | jje (ISO-639-3) |
제주말은 육지서는 더는 못 메맞는 한국말의 엿꼴을 하영 앚엉, 제주섬만의 낫말광 문법적 특성을 가졈시난, 표준말광 ᄐᆞ난 한국어족의 ᄒᆞ낳의 말로 ᄋᆞ겨진다.Template:Wp/jje/Citation needed
2016년 2월 3일, 제주시 한림읍 월림리서 김춘보이장의 주도로 제주말이 공용어로 지정뒈엿다.
글ᄌᆞ영 발음
edit제주말은 한국어족에 속헴시멍, 한국말광 ᄐᆞ나게 모음 둘이 더 잇다. 어휘 및 훼화서 이제의 한국말광 하영 ᄐᆞ나다. 한국어족의 엿적 어휘를 앚엉시멍, 멧멧 닿소리가 한국말광 ᄐᆞ나게 발음뒌다.
닿소리
edit입술소리 | 늬염소리 | 웃하늘소리 | 여린웃하늘소리 | 목고냥소리 | ||
---|---|---|---|---|---|---|
Prosive | 흐린소리 | ㅂ /b/ | ㄷ /d/ | ㄱ /ɡ/ | ||
거쎈소리 | ㅍ /pʰ/ | ㅌ /tʰ/ | ㅋ /kʰ/ | |||
더낀소리 | ㅃ /p˭/ | ㄸ /t˭/ | ㄲ /k˭/ | |||
ᄀᆞᆯ이소리 | 거쎈소리 | ㅅ /sʰ/ | ㅎ /h/ | |||
더낀소리 | ㅆ /s˭/ | |||||
부뜨ᄀᆞᆯ이소리 | 흐린소리 | ㅈ /dz/ | ||||
거쎈소리 | ㅊ /ts/ | |||||
더낀소리 | ㅉ /ts˭/ | |||||
콧소리 | ㅁ /m/ | ㄴ /n/ | ㅇ /ŋ/ | |||
세역소리 | ㄹ /l/ | |||||
가차운소리 | *ㅣ /j/ |
제주말은 한국말광 ᄌᆞ음수가 ᄀᆞ뜨다. 제주말도 한국말광 답게 웃하늘소리로 뒌 닿소리가 잇엉, 특정 ᄌᆞ음(ㅊ, ㅈ, ㄴ, ㅎ)의 발음이 ᄐᆞ나지멍, 「ㅎ」의 경우 "ㅡ"의 앞착서는 [x](무성연구개마찰음) 소리 나는 것이 ᄀᆞ뜨다. 다음 ᄉᆞ항.
- 「ㅎ」(히읗)은 「ㅣ」 앞착서 /ç/로 뒌다. 경ᄒᆞ고 "ㅡ" 앞서는 /x/로 뒌다.
- 「ㅅ」(시옷)광 「ㅆ」(쌍시옷)은 "ㅣ" 앞착서 /ɕʰ/, /,ɕ˭/로 뒌다.
- 「ㄴ」(니은)은 「ㅣ」 앞착서 /ɲ/로 뒌다.
- 「ㅈ, ㅊ, ㅉ」(지읒, 치읓, 쌍지읒)은 「ㅣ」 앞착서 /dʑ/, /tɕʰ/로 뒌다.
- 상기 ᄉᆞ항덜은 「ㅣ」계 이중모음덜(ㅑ, ㅕ, ㅛ, ㅠ, ㅖ, ㅒ, ᆢ)이 두이에 오는 것으로도 적용뒌다.
홀소리
edit제주말은 10개의 홀소리가 잇다. 이는 한국말보담 두 개의 모음이 하다. 알착 표는 단모음이다.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ㅣ | ㅡㅜ | |
근고모음 | |||
중고모음 | ㅔ | ㅗ | |
중저모음 | ㅐ | ㅓᆞ | |
근저모음 | ㅏ |
글ᄌᆞ | 일름 | 발음 | 베리기 |
---|---|---|---|
ㅏ | 아 | [ɐ] | 바당[bɐ.dɐŋ] |
ㅐ | 애 | [e̞](←[ɛ]) | 두루애[du.ɾu.e̞] |
ㅓ | 어 | [ʌ] | 어멍[ʌ.mʌŋ] |
ㅔ | 에 | [e̞](←[e]) | ᄀᆞᆷ세기[gɒm.se̞.gi] |
ㅗ | 오 | [o] | 오토미[o.tʰo.mi] |
ㅜ | 우 | [u] | 테우[tʰe.u] |
ᅳ | 으 | [ɯ] | ᄇᆞ름[bɒ.ɾɯm] |
ㅣ | 이 | [i] | 기[gi] |
ㅢ | 의 | [ɨ] | 늬[nɨ] |
ᆞ | ᄋᆞ | [ɔ] | ᄃᆞᆺ궤기[dɒt̚.gwe.gi] |
알착 표는 이중 모음덜이다.
# | 발음 | 단어 |
---|---|---|
ㅘ | [wɐ] | 와리다[wɐ.ɾi.dɐ] |
ㅙ | [we̞] | |
ㅝ | [wʌ] | |
ㅟ | [wi] | 하위염[hɐ.wi.jʌm] |
ㅞ | [we] | 웨다[we.dɐ] |
ㅑ | [jɐ] | 양[jɐŋ] |
ㅒ | [je̞] | |
ㅕ | [jʌ] | 여산쟁이[jʌ.sʰɐn.dʑe̞ŋ.i] |
ㅖ | [je] | |
ㅛ | [jo] | |
ㅠ | [ju] | |
ᆢ | [jɒ] | ᄋᆢᆨ다[jɒk̚.dɐ] |
제주말모음은 시간 지나멍 여러 가지 변화가 이섯다. ᄋᆞ(ᆞ) 는 원래 /ɒ/여신디, 요즈음 젊은 사름덜 입에서는 /ɔ/로 발음뒈는 경향이 싯다. 이 발음은 몽골말의 О의 발음이다.
- 항목
어휘 차이
edit제주말은 한국어족의 고유 어휘덜이 하 이제의 한국말서 한ᄌᆞ말로 쓰이는 것도 제주말서는 한ᄌᆞ낫말이 아닌 것도 잇다.
한국말 | 제주말 |
---|---|
누가 | 누게 |
언제 | 어느제 |
어디서 | 어듸서 |
무엇을 | 무시거 |
어떻게 | 어떵 |
왜 | 무사 |
한국말 | 제주말 |
---|---|
처음 | 체얌 |
방법 | 내기 |
조금 | ᄒᆞ썰 |
따뜻하다 | ᄄᆞᄄᆞᆺᄒᆞ다 |
한국말 조ᄉᆞ | 제주말 조ᄉᆞ |
---|---|
~로 | ~드레 |
~에게 | ~신디 |
~와/과 | ~왕/광 ~영/이영 |
~부터 | ~부텀 |
~까지 | ~ᄁᆞ장 |
한국어 어미 | 제주말 어미 |
---|---|
~지요 | ~ㅂ주 |
~할래 | ~ᄒᆞ젠[4] |
~ㅂ니다 | ~ㅂ네다 |
~하세요 | ~ㅂ서 |
~합시다 | ~ᄒᆞ자게(마씀) |
~하더랍니다 | ~ᄒᆞᆸ데다 |
문법
edit앞착서 서술ᄒᆞ여낫듯, 제주말은 한국말이영 ᄀᆞᇀ은 배치 순서를 가지고잇다. 특기ᄒᆞᆯ 것은 한국말서는 서로 붙지 안ᄒᆞ는 "가다"영 "오다"가 붙엉 "가오다"는 ᄐᆞ난 동ᄉᆞ가 멩글아진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