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누말(아이누어: アイヌ・イタㇰ, Айну Итак, Aynu itak, 러시아말: Айнский язык 일본말: アイヌ語)은 사할린 주, 캄차카 지방, 홋카이도의 선주민 아이누 민족의 언어이다. 일본 국회안이서 공용어로 지정뒈엿다. 엿적에 혼슈 높착서도 쓰엿다. 아이누어 지역 바로 높착인 사할린 높착, 아무르 강 유역의 니브흐말이영 관계에 주목ᄒᆞᆫ ᄒᆞᆨ자들도 잇주만 아이누말이영 니브흐말 ᄉᆞ이의 겹치는 낫말덜은 차용어 따문으로 여겨졈시며, 그 밧긔 알타이어족이영 관계에 대ᄒᆞᆫ 가설도 제기뒌 바 잇다[1].
[[file:{{{기림}}} |200px]] | |
씨는 나라 | 예 |
씨는 지역 | 홋카이도 |
씨는 민족 | 아이누족 |
언어 인구 | 10명 |
글ᄌᆞ | {{{글ᄌᆞ}}} |
언어 계통 | 고립어 |
첫 자부세 | {{{첫 자부세}}} |
공용 | |
공용어로 씨는 나라 | 어심 |
ᄉᆞ투리 | {{{ᄉᆞ투리}}} |
언어 부호 | ain (ISO 639 3) |
선제 아이누말은 크게 엿 아이누말이영 현대 훼화체 아이누말로 ᄂᆞ놔지곡, 엿 아이누말은 유카르를 비롯ᄒᆞ영 구전문학에서 씨이는 언어로 현대 훼화체 아이누말에 비ᄒᆞ영 보다 포합적이곡 복잡ᄒᆞᆫ 문법 구조를 가졈신 특징이 잇다. 아이누말은 엿 아이누말이서 현대 회화체 아이누말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포합적 요소가 하영 읏어지곡 분석적 요소로 대체뒌 역사언어학적인 중요ᄒᆞᆫ 사례로 간주뒌다.
음운
edit아이누말 음절은 CV(C) 구조로 뒈여잇곡 닿소리가 연속ᄒᆞ영 일어나는 경우는 족다.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 | u | |
중모음 | e | o | |
저모음 | a |
양순음 | 양순연구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p | t | k | ʔ | ||
파찰음 | ts | |||||
비경음 | m | n | ||||
마찰음 | s | h | ||||
접근음 | w | j | ||||
탄음 | ɾ |
성문 파열음 /ʔ/은 낫말 첫머리의 강세가 들어가는 홀소리 앞에서만 나타나곡 글로는 씨이지 않는다. /s/는 /i/ 앞에 오거나 끗소리로 날 적에 [ʃ]로 소리가 나며, 사할린 ᄉᆞ투리서는 끗소리에 /p, t, k, r/이 오민 /h/를 첨가ᄒᆞᆫ 소리가 난다. 아이누말의 강세는 발음에 ᄄᆞ라 ᄐᆞ나지며, 접사가 들어 이신 낫말은 어간에 강세가 들어가곡, 두 음절 이상의 낫말에서 첫 음절이 닿소리로 끝나거나 복모음일 적에는 첫음절에 강세가 들어가며 , 기타 ᄐᆞ난 경우에는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들어간다.
ᄉᆞ투리
edit아이누 민족은 통일뒌 정치체제 엇이 코탄이렌 ᄒᆞ는 거주군을 가운데로 살아왓곡, 선제ᄁᆞ장 언어의 표준화는 안 뒈여ᇝ다. 아이누말의 ᄉᆞ투리는 크게 홋카이도, 사할린(가라후토), 쿠릴 줄섬(지시마) ᄉᆞ투리로 ᄂᆞ놔지곡, 쿠릴 열도 ᄉᆞ투리는 선제 읏어진 상태이며 사할린 ᄉᆞ투리는 지금도 이신지 여부가 확실ᄒᆞ지 않은 상태이다. 소련의 해체 이전꺼ᄁᆞ장 일본서의 사할린 아이누말 연구는 주로 태평양 전쟁 이후 사할린서 이주헤 온 아이누 유민덜을 상대로 일루어졋다.
사할린광 홋카이도의 ᄉᆞ투리는 서로 큰 차이를 보이주만 핫토리의 《아이누어방언사전(アイヌ語方言辞典)》(1963)에 ᄄᆞ르민 홋카이도 최높착의 소야(宗谷) ᄉᆞ투리는 사할린 ᄉᆞ투리영 질로 가찹은 것으로 드러나 ᄉᆞ투리의 지역적 구분이 단절적이지 않곡 연속적임을 보엿다.
선제 아이누말의 주요 ᄉᆞ투리는 호로베츠(幌別), 사루(沙流), 지토세(千歳), 시즈나이(静内), 우라카와(浦河), 사마니(様似), 사할린, 쿠릴 줄섬 따우가 거론뒈곡, 상대적으로 자료를 입수ᄒᆞ기 쉬운 것으로는 사루영 지토세 방언이 거론뒌다.
문법
edit아이누말은 기본적으로 주어 - 목적어 - 서술어 어순으로 뒈여잇곡, 다양ᄒᆞᆫ 조사가 씨인다. 유카르의 언어인 고전 아이누말은 현대 회화체 아이누말에 비해 보다 포합어(polysynthetic)로서의 성질을 띠고 이서 목적어나 부사가 동사에 포합뒈는 경우가 하다. 아래의 문법은 현대 회화체 아이누말을 기준으로 ᄒᆞᆫ다.
명사
edit대명사
edit아이누말의 대명사는 접사로 이루어져 이시며 동사가 자동사인가 타동사인가에 ᄄᆞ랑, 혹은 대명사가 목적어로 쓰이는가에 ᄄᆞ랑 ᄐᆞ난 접사를 사용ᄒᆞᆫ다. 아이누말의 1인칭 복수 대명사는 듣는 사름을 포함ᄒᆞ는 경우("나, 이녁, 경ᄒᆞ고 우리덜")영 포함ᄒᆞ지 않는 경우("이녁을 제웨ᄒᆞᆫ 우리덜")를 구분ᄒᆞ는 반면 3인칭은 단수영 복수의 구분이 엇곡 벨다른 접사를 사용ᄒᆞ지도 않는다.
자동사 | 1인칭 단수 | 1인칭 복수 | 2인칭 단수 | 2인칭 복수 | 3인칭 |
ку= | =ас (배제), =aн (포함) | e= | еци=/еси= | 엇임 | |
타동사 | 1인칭 단수 | 1인칭 복수 | 2인칭 단수 | 2인칭 복수 | 3인칭 |
ку= | ци= (배제), a=/aн= (포함) | e= | еци=/еси= | 엇임 | |
목적어 | 1인칭 단수 | 1인칭 복수 | 2인칭 단수 | 2인칭 복수 | 3인칭 |
ен= | =уни (배제), и= (포함) | e= | еци=/еси= | 엇임 |
예로 eк (오다) 라는 동사를 사용ᄒᆞᆯ 적에, ку=ек "나가 온다", e=eк "이녁이 온다", eк "그/그녀/그덜이 온다" 따우의 형태가 뒌다.
주어를 강조ᄒᆞᆯ 필요가 이실 적에는 따로 대명사를 쓰기도 ᄒᆞᆫ다.
1인칭 단수 | 1인칭 복수 (포함) | 2인칭 단수 | 2인칭 복수 | 2인칭 경어 | 3인칭 |
куани | аока | еани, ециока | ециока | аока | ока |
위의 예문을 주어 대명사를 사용ᄒᆞ민 куани ку=ек, еани e=ек, ока ек 뒌다.
형용동사
edit아이누말의 동사는 주어나 시제에 ᄄᆞ라 변화ᄒᆞ지 않곡, 극히 일부의 동사덜만이 주어의 단/복수에 ᄄᆞ라 ᄐᆞ난 형태를 취ᄒᆞᆫ다. 아이누말의 단/복수 동사 형태는 일상적으로 자주 씨이는 동작이나 이동이영 관련뒌 낫말덜에 한정뒈여 잇곡, 복수 어미 -p, -pa를 취ᄒᆞ기도 ᄒᆞ는 반면 oman, paye추룩 전혀 ᄐᆞ난 동사가 씨이기도 ᄒᆞᆫ다.
제주말 | 단수 | 복수 |
가다 | оман | пайе |
오다 | ек | арки |
들어가다 | ахун | ахуп |
(강 따우를 탕) ᄂᆞ려가다 | сан | сап |
일어나다, ᄂᆞᆯ아오르다 | хопуни | хопунпа |
돌아오다 | хосипи | хосиппа |
아이누말은 한국말, 일본말이영 마찬가지로 형용사영 동사의 구분이 엄밀ᄒᆞ지 않다. 긴다이치 교스케, 지리 마시호영 ᄀᆞᇀ은 초기 언어ᄒᆞᆨ자달은 독립뒌 형용사의 존재를 가정ᄒᆞ엿주만 선제는 형용동사, 용언, 혹은 술어 따우의 용어가 사용뒌다. 아이누말에서 형용사의 구실을 ᄒᆞ는 낫말덜은 그 자체로 "~이다, ~ᄒᆞ다"와 ᄀᆞᇀ은 계사를 포함ᄒᆞ고 잇곡 문맥에 ᄄᆞ라 "XXᄒᆞ다"라는 뜻뿐 아니라 "XXᄒᆞ게 뒈다"를 의미ᄒᆞ기도 ᄒᆞᆫ다.
- Mean.
- (날씨가) 춥다, 추워지다.
- Sirperke.
- (날이) ᄇᆞᆰ다, ᄇᆞᆰ아지다.
조사
edit글ᄌᆞ
edit공식적으로 아이누말은 일본의 가타카나로 쓰인다. 경ᄒᆞᆫ디 가타카나에는 끗소리를 족는 글ᄌᆞ가 부족헤부난 아이누말서는 가타카나 바툼 글ᄌᆞ 밧긔 확장 글ᄌᆞ가 쓰인다. 유니코드의 "Katakana Phonetic Extensions"(31F0-31FF) [1], [2] 영역이 이에 해당뒌다. 러시아의 아이누말은 키릴 글ᄌᆞ를 쓴다. 또 아이누말은 라틴 글ᄌᆞ로 씨이기도 ᄒᆞᆫ다. 아이누 타임즈는 가타카나영 라틴 글ᄌᆞ로 펴낸다.
문ᄒᆞᆨ
edit지랑ᄒᆞᆫ 시간동안 기록ᄒᆞᆯ 글ᄌᆞ가 어섯기 따문 문ᄒᆞᆨ은 거줌 구전에 ᄄᆞ른 것이다. 영웅 서사시 유카르는 고대의 문법이영 낫말을 보존ᄒᆞ여ᇝ다.
낫말
edit예말 지명이 뒌 아이누말
edit아이누말서 유래뒌 본.
- 삿포로 시(Template:Ruby) < Template:Wp/jje/lang < Сат поро пэт(마르고 광대한 대지)
- 도마코마이 시(Template:Ruby) < Template:Wp/jje/lang < То мак ома най(늪 안에 있는 강)
- 왓카나이 시(Template:Ruby) < Template:Wp/jje/lang < Ям вакка най(샘이 있는 늪)
- 시레토코 반도(Template:Ruby) < Template:Wp/jje/lang < Шир эток(땅의 끝)
예말에 들어간 아이누 낫말
edit- 동물
- 들새
- 어패류
ᄀᆞ치 베리기
edit참고문헌
edit- ↑ Patrie, James. <The Genetic Relationship of the Ainu Language>, Honolulu: The University Press of Hawaii. 1982. Template:ISBN.
- Tamura, Suzuko. <The Ainu Language>, Tokyo: Sanseido. 2000. Template:ISBN